이번 포스팅에서는 GPTs에서 앱을 만드는 화면을 간단히 살펴 보려고 한다.
*만약 아직 ChatGPT 계정이 없거나 유료 구독을 신청하지 않으신 경우
아래 포스트에서 관련 내용을 먼저 확인해 주세요.
https://kinecoding.tistory.com/4
1. GPTs 앱 제작 페이지로 이동
ChatGPT에 로그인 후 왼쪽 탭에서 "Explore" 항목을 선택한다
이후 오른쪽 화면에서 "Create a GPT" 항목을 선택한다
2. GPTs 앱 제작 페이지
"Create a GPT"를 선택하면 실제 앱을 제작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한다.
너무 간단해서 당황할 수도 있지만 페이지의 항목들만 입력하면 정말로 앱이 만들어 진다. ㅎㅎ
각 항목들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Create | Configure
- GPTs에서는 앱을 만들기 위해 2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 Create는 ChatGPT와 대화 하면서 앱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이 처음에는 쉬울 수 있지만 어차피 앱을 만들면서 계속 수정을 하기 위해서는 결국 Configure 탭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그래서 본 포스팅 에서는 Configure로 만드는 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 Name
- 만들고자 하는 앱의 이름을 적어 주면 된다.
- Description
- 앱에 대한 설명을 적어 준다.
- 해당 내용은 앱 검색 시 오른쪽에 표시 되므로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문구를 적어주자.
- Instuctions
- 실제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앱이 어떤 기능을 할지 적어주는 부분. 즉 앱 만들기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 GPTs 앱이 어떠한 동작을 할지를 상세하게 정의해 주는 영역으로 세부적인 사용 방법은 예제를 통해 차차 설명할 예정이다.
- Conversation starters
- 사용자가 처음 앱을 실행하면 무엇을 할지 막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화 예시를 적어주는 곳이다. 여기에서 대화 항목을 추가하면 앱 실행시 하단에 버튼 처럼 해당 항목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내 앱과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 Knowledge
- 내가 만든 앱이 참고하게될 지식 파일을 첨부하는 곳이다. PDF나 TXT같은 문서 파일을 첨부해주면 된다.
- Capabilities
- 내가 만든 앱에서 어떠한 세부 기능들을 활성화 할지 체크해 주는 부분이다.
- Web Browsing
- 외부 웹싸이트에서 정보를 탐색할 지 여부
- DALL-E Image Generation
- DALL-E를 통해 이미지 생성 기능 사용 여부
- Code Intepreter
-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해 줄 지 여부
- Actions
- 주로 외부 서버와 API 연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항목이다.
- 실제 이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해당 내용은 추후 예제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할 예정이다.
간단하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설명하다 보니 뭔가 내용이 많아 보인다. ㅠㅠ
하지만 예제를 통해 하나 하나 사용해 보다보면 자연스럽게 내용을 알게 되기 때문에 겁먹을 필요는 없다.
그럼 다음 포스팅 에서는 실제로 간단한 앱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GPTs (GPT 앱스토어) > 앱 개발'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앱 개발하기 (GPTs) - 4. GPTs 간단한 앱 만들기 (0) | 2024.02.04 |
---|---|
ChatGPT 앱 개발하기 (GPTs) - 2. 환경 설정 (0) | 2024.01.27 |
ChatGPT 앱 개발하기 (GPTs) - 1. 개요 (1) | 2024.0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