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포스팅에서는 GPTs에서 앱을 만드는 화면을 간단히 살펴 보려고 한다.

 

*만약 아직 ChatGPT 계정이 없거나 유료 구독을 신청하지 않으신 경우

아래 포스트에서 관련 내용을 먼저 확인해 주세요.

https://kinecoding.tistory.com/4

 

1. GPTs 앱 제작 페이지로 이동

ChatGPT에 로그인 후 왼쪽 탭에서 "Explore" 항목을 선택한다

 


 

이후 오른쪽 화면에서 "Create a GPT" 항목을 선택한다

 

2. GPTs 앱 제작 페이지

 

"Create a GPT"를 선택하면 실제 앱을 제작할 수 있는 페이지로 이동한다.

너무 간단해서 당황할 수도 있지만 페이지의 항목들만 입력하면 정말로 앱이 만들어 진다. ㅎㅎ

 

각 항목들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Create | Configure
    • GPTs에서는 앱을 만들기 위해 2가지 모드를 제공한다.
    • Create는 ChatGPT와 대화 하면서 앱을 만드는 방법이다. 이 방법이 처음에는 쉬울 수 있지만 어차피 앱을 만들면서 계속 수정을 하기 위해서는 결국 Configure 탭에서 작업을 해야 한다. 그래서 본 포스팅 에서는 Configure로 만드는 법에 대해서만 설명하였다.
  • Name
    • 만들고자 하는 앱의 이름을 적어 주면 된다.
  • Description
    • 앱에 대한 설명을 적어 준다.
    • 해당 내용은 앱 검색 시 오른쪽에 표시 되므로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앱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문구를 적어주자.
  • Instuctions
    • 실제 내가 만들고자 하는 앱이 어떤 기능을 할지 적어주는 부분. 즉 앱 만들기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 GPTs 앱이 어떠한 동작을 할지를 상세하게 정의해 주는 영역으로 세부적인 사용 방법은 예제를 통해 차차 설명할 예정이다.
  • Conversation starters
    • 사용자가 처음 앱을 실행하면 무엇을 할지 막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대화 예시를 적어주는 곳이다. 여기에서 대화 항목을 추가하면 앱 실행시 하단에 버튼 처럼 해당 항목이 표시되고 사용자가 내 앱과 대화를 시작할 수 있다.
  • Knowledge
    • 내가 만든 앱이 참고하게될 지식 파일을 첨부하는 곳이다. PDF나 TXT같은 문서 파일을 첨부해주면 된다.
  • Capabilities
    • 내가 만든 앱에서 어떠한 세부 기능들을 활성화 할지 체크해 주는 부분이다.
    • Web Browsing
      •  외부 웹싸이트에서 정보를 탐색할 지 여부
    • DALL-E Image Generation
      • DALL-E를 통해 이미지 생성 기능 사용 여부
    • Code Intepreter
      • 사용자가 작성한 코드를 실행해 줄 지 여부
  • Actions
    • 주로 외부 서버와 API 연동을 하는데 사용되는 항목이다.
    • 실제 이 부분을 사용하는 것이 조금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데 해당 내용은 추후 예제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할 예정이다.

 


 

간단하다고 생각했는데 막상 설명하다 보니 뭔가 내용이 많아 보인다. ㅠㅠ

하지만 예제를 통해 하나 하나 사용해 보다보면 자연스럽게 내용을 알게 되기 때문에 겁먹을 필요는 없다.

그럼 다음 포스팅 에서는 실제로 간단한 앱을 만들어 보려고 한다.

https://kinecoding.tistory.com/6

 

제목을 "환경 설정"으로 했지만 개발을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 하거나 뭔가 복잡하게 준비 할 것은 없다.

 

단 GPTs에서 앱을 개발 하기 위해서는 ChatGPT 서비스 유료 구독이 필요하다.

(참고로 현재는 GPTs에서 앱을 사용하기 위해서도 유료 구독이 필수다)

 

1. 싸이트 접속 및 로그인

https://openai.com/chatgpt 싸이트에 접속 후 오른쪽 상단에 "Log in" 버튼을 선택 한다.

 

 


 

이후 뜨는 팝업에서 계정이 있는 경우 로그인, 계정이 없는 경우 가입하기를 선택한다.

(구글 계정이 있는 경우 "Google 계정으로 계속"을 선택하면 간단하게 가입 가능하다)

 

 

2. 유료 구독 신청

개인적으로 유료 상품 (특히 매달 나가는 구독 상품) 구매하는 것을 선호 하지 않는다.

하지만 GPTs에서 앱을 만들기 위해서는 어쩔수 없이 구독이 필수다. ㅠㅠ

 

로그인 후 화면 왼쪽에 "Upgrade plan"을 선택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구독 상품을 선택하는 화면이 나온다.

 

"Free"는 현재 상태로 기본 가입하면 ChatGPT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한가지 알아야 할 것은 ChatGPT는 현재 2가지 버젼이 존재한다. (GPT-3.5 & GPT-4)

무료 버젼은 GPT-3.5만 쓸수 있다. (다시 말해 GPT-4를 쓰기 위해서는 유료 가입이 필요하다)

 

두 버젼간의 차이에 대해서는 검색을 해보면 자세히 알 수 있지만 간단하게 설명하면  GPT-4로 업그레이드 되면서 더 똑똑하고 (단어 처리 능력 증가, 더 많은 데이터 학습) 멀티 모달 지원(글자 뿐만 아니라 이미지 인식 가능) 한다고 보면 된다.

 

 

"Plus"는 우리가 가입하게 될 요금제이다.

설명 중간에 보면 GPTs에 대한 내용이 있다.

(앞에서 이야기 한 것처럼 앱 생성 뿐만 아니라 사용하기 위해서도 구독 필요)

 

 

"Team"는 팀으로 프로젝트를 함께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요금제이다.

참고로 GPT-4를 사용하다 보면 도중에 이용 횟수가 초과 되었다는 메세지가 뜨면서 내가 입력한 대화가 수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일정 시간을 기다렸다가 가능한 시점에 다시 메세지를 보내야 한다.

Team 요금제 설명에 나와있는 "Higher message caps on GPT-4"가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Plus 요금제에 비해 더 많은 메세지 입력을 허용해 준다.

그렇다고 처음부터 Team 요금제를 가입할 필요는 없고 사용하다 불편하면 그때 업그레이드 해도 된다.

 


 

Plus를 선택하면 아래와 같은  카드 결제 화면이 뜬다.

여기에서 카드 정보를 입력하고 결제 하면 된다.

 


 

참고로 "카드 소유자 이름" 항목의 경우 여기에 입력한 내용이 아래와 같이 내가 만든 앱에 작성자 항목에 노출 되게 된다.

만약 실명 노출을 원하지 않는 경우라면 본인이 원하는 문자열을 넣어도 된다.

(결제 후 나중에 변경도 가능하다)

 

 


 

결제를 무사히 마쳤다면 GPTs에서 ChatGPT 앱을 개발하기 위한 준비는 완료 되었다.

유료 상품을 구독한 만큼 뭔가 더 열심히 해야겠다. ㅋㅋ

 


 

다음 글에서는 실제 앱을 제작하기 위한 화면으로 넘어가 보자.

https://kinecoding.tistory.com/5

 

얼마전 ChatGPT에서 앱을 만들고 배포할 수 있는 앱스토어를 정식으로 오픈했다.

 

이름은 GPTs (https://chat.openai.com/gpts)

 

요즘 워낙 핫한 ChatGPT 관련된 새로운 서비스 이기도 하고 그동안 스마트폰 앱스토어가 가져온 엄청난 경제적 파급 효과를 경험한 터라 어떤 녀석인지 궁금해 졌고 이것 저것을 파기 시작했다.

 

 


 

결론 부터 내리면 아직은 불확실한 요소들이 더 많다

 

첫째. 수익 체계가 없다.

모든 플랫폼이 그러하듯 앱 스토어 또한 공급자(앱 개발자)가 수익을 얻을 수 있어야 더 많은 개발자들이 참여하게 되고 이에 따라 서비스의 품질과 소비자(앱 사용자)가 증가 하는 선순환이 이뤄지게 되는데 현재 시점에서는 아직 어떻게 수익을 얻을 지에 대해 정해진 바가 없다.

 

조만간 (올해 상반기 쯤) 미국 마켓을 대상으로 앱의 사용량에 따라 수익을 배분하는 모델을 발표 한다는 이야기가 있지만

아직은 얼마나 수익을 얻게 될지에 대해 가늠할 수 없는 상황이다.

 

둘째. 진입 장벽이 낮다

몇 개의 앱을 만들어 보면서 느낀 점은 기존의 안드로이드나 iOS 앱스토어 개발과 비교 할 수 없을 정도로 앱 개발하고 배포 하는 과정이 쉽게 되어 있다.

 

이는 개발하는 측면에서 장점이 될 수 있지만 진입 장벽이 매우 낮기 때문에 문장 몇줄과 클릭 몇번으로 뚝딱 앱을 만드는 것이 가능하다.

(실제로 베타 서비스 기간에 이미 200만개의 앱이 만들어 졌다고 한다... 흠...)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로는 이 시장에 도전해 볼 만한 충분한 가치가 있다는 판단이 들었다.

 

우선 수익 체계의 경우 어떠한 방식으로든 확립 될 것이다.

아마도 자체 펀드를 만들어서 앱 사용량에 따라 배분하는 방식이 되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그리고 ChatGPT를 이끌고 있는 샘 알트먼은 Y Combinator에서 대표를 한 경험이 있다.

(Y Combinator는 미국 최대의 스타트업 육성 기업이다)

수많은 스타트업을 육성하고 투자를 진행한 그의 경험상 수익 구조에 대한 중요성을 잘 알고 이 부분에 대한 솔루션을 제시할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낮은 진입 장벽 또한 극복 될 수 있다.

앞으로의 글에서 언급 하겠지만 GPTs에서는 Open API와 같이 외부 서비스와 연계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들을 활용하면 다른 앱들과 차별화 되고 좀 더 고도화된 서비스 제작이 가능하다.

 


 

GPTs는 ChatGPT에 있어서 새로운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지금까지 LLM 기반으로 세상에 없던 새로운 인공 지능 서비스를 제공 했다면 GPTs를 통해 서비스에서 플랫폼으로 진화하며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수많은 서비스들이 생산해내는 기반이 될 것이다.

다음 글부터는 본격적으로 GPTs로 앱을 만드는 방법을 이야기 하려고 한다.

 


 

ChatGPT 앱 개발하기 (GPTs) - 2. 환경설정

https://kinecoding.tistory.com/4

 

그동안 ChatGPT에 대해 주변에서 많은 이야기들을 들어 왔지만

최근에서야 본격적으로 기능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이것이 단순한 서비스가 아닌

인류 역사의 커다란 변곡점이 될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인공지능이란 거대한 변화의 흐름에서

옳다 그르다는 언쟁은 더 이상은 큰 의미가 없어 보인다.

이제는 인공지능을 나의 삶과 어떻게 연결할지에 대한 탐색이 필요한 시점에 온 것 같다.

 

앞으로 ChatGPT와 GPTs(GPT 기반 앱스토어)에 대한

다양한 분석과 실험들을 진행하고

본 블로그에서 글을 공유 하려고 한다.

+ Recent posts